무역의 기초

[무역 기초 스터디 D-3] 수입 편

상큼 레몬 2024. 6. 12. 20:09
반응형

이번 편은 수입에 관한 것입니다. 해외의 어떤 제품이 마음에 든다면, 바이어는 어떻게 그 제품을 한국으로 가져 올 수 있을까요? 

 

1. 우선, 통관에 어떤 문제가 없을지, 통관에 필요한 서류는 무엇인지 반드시 알아야 합니다. 

 

그리고, 대략적인 수입의 과정은  이렇게 되겠지요.

 

 

2. 수입 계약

 

수출자와 바이어는 여러 협상 (가격, 납기, 에이전트 여부, 운송 등) 이 끝났다면, 계약서를 체결할 것 입니다. 

계약서는 수출자가 준비 해 온 것이 있을 것입니다. 그러나 협상내용이 계약서에 잘 들어갈 수 있도록, 계약서를 수정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. 

이런 계약서에는

  • 서로의 주소, 연락처, 이름
  • 합의한 제품의 가격과 내역
  • 수입제품에 흠이 있을 경우 대비 클레임에 관한 사항 
  • 통관과정에서 수출자가 제출할 서류가 있다면 계약서에 명시 
  • 샘플 제품보다 품질이 떨어지는 제품을 생산할 경우, 반품/가격 할인 등의 문구
  • 결제에 대한 구체적 합의 사항 (보통은 30% 보증금, 나머지 70%는 제품 선적 후 지급) 
  • 납품 기일

3. 수출자의 제품 생산

바이어가 약속대로 결제가 되었다면, 수출자는 제품 준비 및 생산에 들어갈 것입니다. 

또한 수출자는 납기를 맞추기 위해 수출할 제품이 언제 준비되는지, 운송에 필요한 비행기/선박은 제 날짜에 있는지를 확인하게 됩니다. 

 

4. 국제 운송

수출 통관을 마친 후, 수입지 까지 선박이나 비행기로 운송되는 것.

이 때, 수출자는 수출제품 최종내역을 바이어에게 통지한다. 그 후,  수출자가 운송회사로부터 Airwaybill 이나  B/L을 받으면 바이어에게 인보이스 패킹을 보낸다.  

 

* 바이어가 제품 선적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

: 운송회사는 화물을 선적하면 Airway Bill 이나 B/L 을 발행하는데, 수출자가 바이어에게 이 서류를 보내줌으로써 선적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. 

 

*수입지에서 화물인수시 반드시 필요한 것 

A. 선박운송 경우

: 바이어는 선박 운송으로 도착한 화물을 인수하기 위해서 반드시  B/L 원본이 필요하다. 

  B/L원본은 운송회사 담당자의 서명과 운송회사의 도장이 찍힌 서류로, 운송회사가 보내준다. 

또한, 수출자 입장에서는 바이어가 아직 결제를 마치지 않았다면, 결제 완료시까지 B/L원본을 바이어에게 보내서는 안 된다. 

B. 해상운송 경우

선박운송의 경우, 바이어가 받는 사람이 맞는지만 확인되면 보세창고에서 물건을 찾을 수 있다. 

 

5. 통관 

수출 통관시, 수출자는 인보이스, 패킹리스트 등의 서류를 세관에 제출해 제품에 대한 신고하고, 세관에서 통관절차 진행.

수입 통관시, 바이어가 수입신고서류(인보이스, 패킹 리스트, Airwaybill-사본도 가능- 이나 B/L 등) 를 제출함으로 세관에서 통관이 진행.

보통 관세사를 통해서 수입신고 진행되는데, 미리 통관 수수료, 관세, 운송료(바이어 부담의 경우), 수입신고서류를 보내 수입신고 할 것. 

 

6.국내운송 

통관이 완료되면, 화물을 인수 할 수 있는데, 화물 인수할 차량이 없다면 관세사에게 운송차량 요청 

 

7.바이어가 인보이스, 패킹리스로 제품 수량 확인한다.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반응형